본문 바로가기
주요 경제 뉴스

2024년 경제 전망 스테그플레이션

by 능 구 2023. 10. 12.

금리가 높은 시기라 투자 보다는 예금을 하며 지켜 보는 분위기로 투자라고는 가끔 공모주 청약을 하며 지내는데 요즘 채권투자 이야기가 많아서 나도 채권에 투자를 해야 하나 하는 마음에 관련 정보를 찾다 보니 ....

이유인 즉은  경제가 스테그플레이션 상황이라고 한다.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거시경제학에서 고(高) 물가상승과 실직, 경기 후퇴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경제 이론에서는 예측하기 어려운 현상 중 하나로 간주 된다. 

스태그플레이션 특징 

1. 고용률 하락 : 실업율 상승 -> 소득감소 -> 경기침체 심화 

2. 물가 상승 :  소비자 물가 지수(CPI,Consume Price Index)상승, 평범한 소비재와 서비스 가격 상승 -> 구매력 감소 

3. 경제성장 저하 : 고용률 하락과 물가상승은 기업의 투자와 생산 제약-> 소비자 소비 제한 -> GDP성장률 둔화 거나 마이너스로 전환 가능

4. 원인 복잡성: 고용률과 물가 상승은 서로 다른 원인으로 발생.

    - 고용률 하락은 경기침체나 생산성 감소와 관련 

    - 물가 상승은 원자재 가격 상승이나 통화 공급증가와 관련 

  원인 : 과도한 통화공급증가 정책 -> 물가상승촉진

            적절하지 않은 고용률 증가를 위한 재정 정책  

            기술혁신을 통한 생산선 향상->물가 상승 , 일부 작업의 자동화로 인한 고용률 하락

 

경제읽어주는 남자 김광석 교수님은 우리 나라는 2023년  상반기 즉 올해 초부터 스테그플레이션이 시작되었고 2024년은 글로벌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이라고 전망하였다. 

 

요약하면 세계적으로 고물가 저성장 시대에 우리는 지내야 한다는 것이다. 


 

저성장과 고금리 고물가 관련 기사를 링크하였으니 스태그플레이션이 상황이 맞는지 잘 파악하길 바라며 

투자를 위한 방향이나 전략을 세우기 위해서 흐름을 잘 읽고 합리적인 판단을 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31010500219 

 

성장률 내리고, 물가 상승률 올린 IMF… 내년 전 세계 ‘스태그플레이션’ 경고등

IMF, 10월 세계경제전망 발표 내년 성장률 0.1%P 하향 조정 내년 물가 상승률 0.6%P 높여 저성장·고물가 내년 지속 우려 국제 유가 상승에 전 세계 촉각 한국, 내년 성장률 2.4→2.2%, 국제통화기금(IMF)

www.seoul.co.kr

 

핵심 : 저성장 고물가 상황 유가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확산되면 세계적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 증가 

          - 경제성장률 전망치 2023년 3.0% 유지 -> 2024년 2.9% 하향 조정 

          - 물가 상승률 전망치 2023년 6.9%  7월대비 0.1%p 하락 ->2024년 06% p 상향 조정

          =>2024년 고물가 국면, 2025년 물가 안정 목표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 

국가  2023 2024 조정 

한국
1.4% 유지 2.4-> 2.2% 0.2% 하향
중국 5.2-> 5.0% 하 4.2% 정부목표치 5% 미달
일본   1.4 -> 2.0 % 상향 1.0%  역성장 
 미국 1.8-> 2.1% 상향 1.5% 3개월전보다 상향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0110905i

 

 

이창용 "한국, 유례없는 저출산 고령화…저성장 가능성 있다" [강진규의 BOK워치]

이창용 "한국, 유례없는 저출산 고령화…저성장 가능성 있다" [강진규의 BOK워치], 강진규 기자, 경제

www.hankyung.com

 

핵심  :   고금리 장기화(Higher for longer)가 전세계적으로 새로운 정책기조(regime) 이며 한국은 내부 요인인 저출산 문제와 인구구조 고령화 압력으로 금리 장기화와 저성장 가능성 우려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111557.html

 

세계경제 ‘저성장 늪’ 경고…한국 내년 전망치 2.2%로 하향

IMF “세계경제 연착륙 가능성 커져”한국 2.4%에서 0.2%p 낮춰미국경제 빼면 ‘저성장 고착화’

www.hani.co.kr

 

핵심 : 지난 2000∼2019년 20년치 성장률 평균(3.8%)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파란색 선은 국제통화기금(IMF)의 연도별 5년 뒤 성장률 전망값 변화 추이. IMF 보고서 갈무리

전망치는 2008년 당시 4.9%에서 올해 3.0%로 15년 사이 1.9%포인트 급락하였으며 저성장 기조가 생산성 악화, 인구 고령화 등으로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는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