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쟁력2 글로벌 ESG 정보공시 준비 25% 준비 완료 핵심: 2024년 글로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정보공시 의무화 시행을 앞둔 가운데 기업의 25% 만이 ESG 공시 준비되어 있다. 대부분의 글로벌 기업이 데이터 인증과 새로운 규제에 대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이다. 요약 : ESG 정보공시 준비가 높은 그룹은 이사회 수준에서 ESG 이슈에 집중하고, 정기적인 ESG 교육을 실시하며, ESG 데이터에 대한 통제권( ESG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갖춘 기업들이다. (조사대상 기업 전체의 25%) ESG 정보 공개 준비에 있어 핵심동력이라 할수 있는 것은 규제 압력이며, 작은 기업들이 ESG 정보 공개 준비에 직면한 도전을 강조하고 있다. 규제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ESG 보고는 전 세계 기업들에게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기업.. 2023. 10. 26. ESG 공시 의무화 연기 '시간을 빚진 것' 핵심 : ESG 공시 피해갈 수 없는 세계적 흐름 요약 : ESG 공시의무화는 사회적책임을 넘어 글로벌 투자자의 선택을 받기 위해 필요한 제도 이므로 공식의무화 연기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감소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는 구체적 기준과 로드맵 발표 2026년 시행가능도록 박차를 가해야 한다. 기존 계획 2025년 자산2조원 유가시장상장사 공시의무화 2030년 모든 코스피 상장사확대 현 문제점 어떤 데이터 취함 불분명하므로 기준 제정이 시급하다. 6월에 발표한 ISSB 지침이 한국 번역본 없으므로 번역본 발간이 필요하다. 벤치마킹 해외사례 부족 하므로 기준이 없이는 기업이 준비를 할수 없다. 구체적 기준 발표 시점을 알아야 체계적 준비가 가능하다. ESG 데이터취합.관리 시스템 구축비용 또한 만만치.. 2023. 10.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