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경영에 있어 매출, 이익과 같은 재무적 요소 외에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등의 비재무요소 고려가 선택이 아닌 필수 생존전략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도 ESG가 무엇인지 어떤 글의 약자인지는 정도는 대부분 알고 있을거라 믿는다.
하지만 ESG의 개념을 명확히 아는 것은 필수적이므로 한번 정리해 보고 가도록 하겠다.
ESG 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3가지 비재무적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세 요소의 영문 첫글자를 조합한 단어이다.
ESG (환경, 사회, 지배구조: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환경 (Environment): 기업의 환경 보호 활동 및 그 영향을 나타내는 요소이며. 이에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재생 가능한 에너지의 사용, 자원의 효율적 활용, 폐기물 관리, 생물 다양성 보호 등의 활동이 포함된다
사회 (Social): 기업이 사회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책임과 영향을 나타내는 요소이며 여기에는 노동자의 권리, 직원의 건강과 안전, 고객의 건강과 안전, 공동체와의 관계, 인권 이슈, 고용 창출 등이 포함된다
지배구조 (Governance): 기업의 지배 구조와 관련된 정책, 절차, 그리고 실천 방안을 나타내는 요소이며. 이에는 이사회의 구성 및 다양성, 주주의 권리, 공정한 보수 체계, 부패 및 비리에 대한 정책과 절차 등이 포함된다.
ESG 요소는 투자 결정을 내릴 때 기업의 장기적인 가치와 위험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기준으로 사용되며 ESG 투자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뿐만 아니라, 그 기업이 환경, 사회, 지배구조 측면에서 얼마나 지속 가능하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평가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
'ESG'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G와 목적 지향적 브랜드 마케팅 (0) | 2023.10.24 |
---|---|
ESG 강화를 위한 실천적 전략 (1) | 2023.10.23 |
ESG 공시 의무화 연기 '시간을 빚진 것' (0) | 2023.10.21 |
ESG 공시 의무화 2026년 이후로 연기 (0) | 2023.10.17 |
금융 변화를 이끌기 위해 기후 공시가 의무화 (0) | 2023.10.06 |